
ETF는 생각보다 용어 장벽이 높은 투자 상품이에요.
처음엔 “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야?” 싶었는데,
용어 몇 개만 익혀두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더라고요.
이번 글에서는 ETF를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용어 10가지를 정리해볼게요.
✅ 1. ETF (Exchange Traded Fund)
- 상장지수펀드. 말 그대로 ‘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’예요.
-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아 분산 투자가 가능하고,
거래소에 상장돼 있어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어요.
✅ 2. 기초지수 / 추종지수 (Benchmark Index)
- ETF는 어떤 지수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설계돼요.
- 예: S&P500, 나스닥100, 코스피200 등
- ETF가 뭘 추종하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게 핵심!
✅ 3. 운용보수 (Expense Ratio)
- ETF를 굴리기 위한 연간 운영 수수료예요.
- 연 0.03%~0.7%까지 다양하며, 낮을수록 투자자에게 유리
- 예: 보수 0.3%면, 연간 수익의 0.3%가 빠져나감
✅ 4. 순자산총액 (AUM – Asset Under Management)
- ETF에 얼마나 많은 돈이 투자돼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
- 클수록 유동성이 높고, 신뢰할 수 있는 ETF일 가능성 ↑
✅ 5. 유동성 (Liquidity)
- ETF를 사고팔 때 거래가 잘 되는지를 나타내요.
- 거래량이 많고 AUM이 클수록 유동성이 높음 → 스프레드가 작음
- 유동성이 낮으면 원래 가격보다 불리하게 거래될 수 있어요
✅ 6. 괴리율 (Premium / Discount)
- ETF 시장 가격과 실제 순자산가치(NAV)의 차이
- 가격이 너무 벗어나 있으면 “비싸게 사거나 싸게 팔 수도 있음”
- 괴리율이 작은 ETF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
✅ 7. 분배금 / 배당금 (Distribution / Dividend)
- ETF가 보유한 종목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일정 주기로 나눠줘요
- 배당성 ETF라면 정기적인 현금 흐름 확보 가능
- 국내 ETF는 분기/반기, 미국 ETF는 월별/분기 지급이 많음
✅ 8. 기초자산 구성 (Holdings)
- ETF 안에 들어 있는 종목 리스트
- 예: S&P500 ETF →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아마존 등이 포함
- 어떤 종목들이 얼마나 들어있는지를 체크해야 해요
✅ 9. 레버리지 / 인버스 ETF
- 레버리지: 지수의 2~3배 수익률을 추종
- 인버스: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이 나는 구조
- 단기 투자용으로 설계된 고위험 상품 → 초보자 비추천!
✅ 10. ETF 코드 (Ticker Symbol)
- ETF를 검색할 때 쓰는 약칭
- 예: SPY (S&P500), QQQ (나스닥100), KODEX200 (코스피200)
- 거래할 땐 코드로 검색하는 게 더 정확하고 빠름
✅ 정리하며
ETF를 잘 고르고 투자하려면
이런 기초 용어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이에요.
저도 하나씩 헷갈릴 때마다 다시 찾아보며 정리 중입니다.
🧭 다음 글 예고
👉 ETF 투자할 때 꼭 체크해야 할 5가지 (괴리율, 추적오차 등)
👉 ETF 수수료, 세금, 실질 수익 계산법
이런 현실적인 정보들도 차근차근 공유해볼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