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uthor: 슈퍼토미

  • 📘 ETF 어떻게 사나요? 국내 vs 해외 ETF 매수법 비교


    ETF는 ‘주식처럼 거래하는 펀드’니까,
    결국 증권사 앱에서 주식 사듯이 매수하면 됩니다.
    하지만 국내 ETF해외 ETF는 매수 방식에 차이가 있어요.


    🇰🇷 국내 ETF 매수 방법

    1. 증권사 계좌 개설

    • 키움증권, NH투자증권, 미래에셋, 토스증권 등
    • 비대면 개설 가능 (모바일 앱으로 간편하게)

    2. 일반 주식 계좌로 거래 가능

    • ETF도 ‘주식’처럼 코스피/코스닥에 상장
    • 예: KODEX200, TIGER 나스닥100 등

    3. 매수 방법

    • 주식처럼 검색창에 ETF 이름이나 코드 입력
    • 수량 입력 후 매수 버튼 클릭

    4. 세금

    • 매매 차익은 비과세 (국내 상장 ETF 기준)
    • 배당소득은 분리과세 15.4%

    🔹 초보자에게는 국내 ETF가 훨씬 간편하고 진입장벽이 낮아요


    🇺🇸 해외 ETF 매수 방법

    1. 해외 주식 거래 가능한 증권사 필요

    • 키움, NH, 미래에셋, 한국투자, 삼성증권 등

    2. 환전 또는 원화 매수 설정

    • 보통 USD로 환전 후 매수
    • 일부 증권사는 원화 매수도 가능하지만 수수료가 더 붙을 수 있음

    3. 예시 ETF

    • SPY (S&P500), QQQ (나스닥100), VOO, VT, ARKK 등

    4. 세금

    • 매매 차익: 양도세 22% (기본공제 250만 원)
    • 배당소득세: 미국 세금 15% 원천징수

    🔹 미국 ETF는 장기 투자를 고려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입니다
    단, 세금, 환율, 시차 등 고려할 요소가 많아요.


    📝 국내 vs 해외 ETF 비교표

    구분국내 ETF해외 ETF
    거래 통화원화달러 (USD)
    세금매매차익 비과세매매차익 22% 과세
    접근성매우 쉬움계좌, 환전 필요
    유동성낮음~보통매우 높음
    운용보수낮은 편더 낮은 ETF도 많음
    배당세15.4%미국 원천징수 15%

    ✅ 나의 선택은?

    처음엔 국내 ETF부터 시작했어요.
    환전이나 세금 계산이 번거로웠고,
    무엇보다 모바일 앱에서 직관적으로 매수 가능해서
    진입장벽이 낮았거든요.

    하지만 공부를 하면서 미국 ETF에도 관심이 생기고 있어요.
    지금은 두 시장을 비교해보며 투자 전략을 확장해보려는 중입니다.


    🧭 다음 글 예고

    👉 “ETF 투자할 때 자주 쓰는 용어 10가지”
    👉 “ETF 살 때 꼭 체크해야 할 요소들 (유동성, 괴리율 등)”

    이런 내용도 차근차근 정리해볼게요!


  • 📘 ETF 종류와 나에게 맞는 ETF 고르기


    ETF를 검색해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서 혼란스러웠어요.
    “이걸 다 공부해야 하나?” 싶을 정도였죠.
    하지만 알고 보면 ETF는 몇 가지 큰 분류로 나눌 수 있어요.


    ✅ 1. 지수 추종형 ETF (인덱스 ETF)

   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, 특정 지수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는 ETF예요.
    대표적인 예는:

    • S&P500 ETF (예: SPY, IVV)
    • 코스피200 ETF (예: KODEX200, TIGER200)
    • 나스닥100 ETF (예: QQQ, TIGER 나스닥100)

    🔹 누구에게 추천?
    처음 투자하는 사람, 장기 투자자, 리스크를 낮추고 싶은 사람


    ✅ 2. 섹터/테마형 ETF

    특정 산업이나 테마에 집중 투자하는 ETF예요.
    예를 들어:

    • 2차전지 ETF (예: KODEX 2차전지산업)
    • AI 관련 ETF (예: Global X AI ETF)
    • 친환경/ESG ETF (예: TIGER 친환경자동차)

    🔹 누구에게 추천?
    성장 산업에 관심 있는 사람, 테마에 베팅하고 싶은 사람
    단, 리스크는 조금 더 큼!


    ✅ 3. 배당형 ETF

    배당금을 꾸준히 주는 기업들로 구성된 ETF예요.

    • ARIRANG 고배당주 ETF
    • SPYD (미국 고배당 ETF)
    • TIGER 미국배당성장 ETF

    🔹 누구에게 추천?
    매달 배당을 받고 싶은 사람, 현금흐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


    ✅ 4. 레버리지 / 인버스 ETF

    • 레버리지: 원래 지수의 2배, 3배 수익률 추종
    • 인버스: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이 나는 구조

    예:

    • KODEX 레버리지 / KODEX 인버스
    • ProShares Ultra S&P500 (SSO)

    🔹 누구에게 추천?
    단기 트레이더, 고위험 고수익 추구자
    초보자는 추천 ❌


    🔍 ETF 고를 때 기준 5가지

    1. 어떤 지수를 추종하는가? (S&P500, 나스닥100 등)
    2. 운용 규모는 충분한가? (규모 작으면 유동성 낮음)
    3. 운용보수는 적절한가? (보통 연 0.1%~0.5%)
    4. 구성 종목이 어떤 기업들인가?
    5. 내 투자 목적과 맞는가? (성장, 배당, 분산 등)

    ✅ 나의 선택 기준은?

    처음엔 장기적으로 꾸준히 우상향 할 가능성이 높은
    지수형 ETF (S&P500, 나스닥100)부터 시작했어요.
    섹터형은 나중에 공부하고 자신이 생기면 천천히 들어갈 생각이에요.


    🧭 다음 글 예고

    👉 “ETF를 실제로 사는 방법 (국내 vs 해외)” 편에서는
    한국과 해외에서 ETF를 어떻게 매수하는지
    증권사 앱 기준으로 하나씩 정리해볼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