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수영 호흡의 기본 [01:03]
- 육상 호흡과의 차이: 물속에서는 압력 때문에 의식적으로 호흡해야 합니다. 입으로 들이마시고, 코나 입으로 내뱉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내뱉기의 중요성: 의식적으로 숨을 완전히 내뱉어야 다음 숨을 들이마실 공간이 생기고, 몸의 긴장이 완화됩니다.
- 연습법:
- 흔한 실수: 얼굴이 물 밖에 나왔을 때 숨을 내쉬고 들이마시는 실수를 피하고, 물 밖에서는 오직 들이마시는 것에만 집중하세요.
2. 초보자를 위한 자유형 드릴 (25m를 완주하지 못할 때) [08:55]
- 연습 빈도가 중요: 한 번에 오래 하는 것보다 짧은 시간이라도 자주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 (예: 30분씩 주 4회)
- 연습법:
- 부분별 연습: 스트로크 전체를 연습하기보다 동작을 하나씩 쪼개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3. 자유형 롤링 드릴 [18:58]
- 어깨 드릴: 글라이딩 자세에서 한쪽 어깨를 앞으로 내밀며 롤링을 시작하는 연습. [19:47]
- 롤링 킥: 머리는 고정한 채로 몸을 좌우로 굴리며 킥 연습하기. [20:06]
- 풀 터치 드릴: 스트로크 끝에서 손으로 엉덩이/허벅지를 의식적으로 터치하는 연습. 더 깊은 롤링을 유도하고 가슴을 열어줍니다. [20:28]
4. 자유형과 접영의 업킥 연습 [24:16]
- 업킥의 중요성:
- 다음 다운킥을 위한 공간 확보.
- 물의 저항을 줄여 부드러운 움직임 가능.
- 접영에서는 가슴을 누르는 동작에 필수적입니다.
- 최고의 드릴: 옆으로 킥하기 (사이드 킥) [27:29]
- 사이드 킥은 업킥과 다운킥 비율을 균형 있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.
- 자유형은 얼굴을 물에 담근 채, 배영은 얼굴을 위로 향한 채로 연습합니다. 최소 8회 또는 8분 이상 연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세요. [30:01]
5. 자유형 리커버리 드릴 (팔꿈치 굽히기 힘든 경우) [30:39]
- 원터치 핸드 드래그 드릴: 한 팔씩 수영하며 리커버리 구간에서 손가락 끝(또는 손 전체)을 허벅지에서부터 입수 지점까지 물 표면에 끌고 가는 연습을 합니다. 이를 통해 높은 팔꿈치 자세를 느끼고 올바른 팔 동작을 익힐 수 있습니다. [31:2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