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밸런싱의 개념은 알겠는데…
“구체적으로 뭘 팔고 뭘 사야 하지?”,
“몇 퍼센트 차이 날 때 해야 해?”,
이런 고민이 생기기 시작하면, 당신은 이제 리밸런싱 입문 완료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ETF 리밸런싱을 실제로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
예시와 함께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.
✅ 리밸런싱 목표는 ‘원래의 나’로 돌아가기
리밸런싱의 핵심은 단순합니다:
처음 내가 세운 투자 비율로 돌아가는 것.
예를 들어 내 계획이 이랬다고 해볼게요:
ETF | 목표 비중 |
---|---|
S&P500 (VOO) | 50% |
나스닥100 (QQQ) | 30% |
채권 ETF (AGG) | 20% |
시간이 지나면 자산은 이런 식으로 변해있을 수 있어요:
ETF | 현재 비중 |
---|---|
VOO | 42% |
QQQ | 45% |
AGG | 13% |
👉 이때는 VOO·AGG를 추가 매수하거나,
QQQ를 일부 매도해서 균형을 다시 맞추는 게 리밸런싱입니다.
✅ 리밸런싱 타이밍 설정법
언제 리밸런싱할지 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예요:
1. 정기 리밸런싱 (달력 기준)
- 분기별, 반기별, 연 1회 등 시간 기준으로 정해두고 점검
- 예: 매 3월/6월/9월/12월 말에 비중 점검 후 리밸런싱
- 장기투자자에게 추천 (꾸준한 습관 가능)
2. 비율 리밸런싱 (편차 기준)
- 비중이 목표 대비 ±5% 이상 변화했을 때 실행
- 예: QQQ 목표 30%인데, 36% 이상 or 24% 이하 → 리밸런싱
- 변동성 있는 시장 대응에 유리
✅ 리밸런싱 실행 방법
- 매도/매수 조합 방식
- 비중이 늘어난 ETF 일부 매도 → 줄어든 ETF 추가 매수
- 수수료와 세금 고려 필요 (미국 ETF는 양도세 발생 가능)
- 추가 자금 활용 방식
- 매도 없이 신규 자금으로 부족한 ETF만 매수
- 초보자에게 추천 (세금 이슈 없고 단순함)
- 자동 리밸런싱 ETF/펀드 활용
- 예: TDF(타깃데이트펀드), 일정 비중 자동 조절형 ETF
✅ 실전 예시: 내가 썼던 리밸런싱 시나리오
- 목표 비중:
- S&P500 50%, 나스닥100 30%, BITO 10%, 채권 10%
- 2025년 4월 상태:
- BITO 급락 → 5%로 줄어듦
- 나스닥 급등 → 42%로 증가
→ ✅ 전략:
- 신규 자금으로 BITO를 조금 보충
- 나스닥은 추가 매수 중단하고 현상 유지
- 장기적으로 S&P500 비중 다시 늘릴 예정
이처럼 리밸런싱은 꼭 “매도/매수”만으로 하는 게 아니라
추가 매수 비중 조절만으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해요.
✅ 리밸런싱 체크리스트
✔ 내가 처음 정한 목표 비중은 무엇인가?
✔ 지금 내 포트폴리오의 실제 비중은 어떤가?
✔ 너무 치우친 종목이 있다면 이유는 무엇인가?
✔ 매도할 건가? 추가 매수로 조절할 건가?
📝 한 줄 요약
리밸런싱은 투자를 정리하고, 다시 방향을 잡는 시간입니다.
내 목표를 잊지 않도록 나를 되돌아보는 툴이기도 하죠.